Chatty
Two channel video / 4K / Color / Silent / 6' 19" / 2023
3D Print (Resin), Acryl, Spray / 22x22x42cm / 2023

넥스트코드2023:다이버, 서퍼, 월드빌더 / 대전시립미술관 / 대전




<Chatty> (2023)는 ChatGPT(3.5)와의 대화에서 영감을 받은 작업으로, 인공지능의 정체성과 인간-기계 소통의 불확실성을 다룬다. AI에게 “당신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진행되는 2채널 영상과 3D 프린트 작품으로 구성된다. 초반에는 AI가 자신을 특정 형태로 묘사할 수 없다고 답하지만, 대화가 진행될수록 인간의 형태로 묘사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는 AI와 인간 간 경계의 흐림, 정체성 혼란과 기계적 오류를 은유한다. 영상 속 AI의 예측 불가능한 반응은 관객으로 하여금 AI를 인격화하고 인간적 특성을 부여하게 만들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인지적 불안을 시각화한다. 동명의 3D 프린트 작품은 AI가 묘사한 모습을 표준형 성인 남성 사이보그의 이미지로 구현되었으며, 디지털 패드, 안테나, 스피커, 버튼 등 기계적 장치를 포함해 인간과 기계의 융합을 상징한다. 이는 디지털 기기와의 일상적 공존을 반영하며, 우리의 신체와 정체성이 기술과 어떻게 점차 융합되는지 질문한다.
<Chatty>(2023) is a work inspired by conversations with ChatGPT (3.5), addressing the ident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uncertainty of human-machine communication. Comprising a two-channel video and a 3D-printed sculpture, the piece begins with the AI stating that it cannot describe itself in any specific form. However, as the conversation progresses, it begins to depict itself in human-like terms. This narrative shift metaphorically explores the blurring boundaries between AI and humans, identity confusion, and mechanical error. The AI’s unpredictable responses in the video lead viewers to anthropomorphize it and attribute human qualities, visually manifesting the cognitive dissonance that arises from this process. The 3D-printed sculpture, bearing the same title, materializes the AI’s self-description in the form of a standard adult male cyborg. Equipped with digital pads, antennas, speakers, buttons, and other mechanical devices, the sculpture symbolizes the fusion of human and machine. It reflects our everyday coexistence with digital technology and raises questions about how our bodies and identities are increasingly merging with technological systems.


두 개의 태양, 두 개의 달 / 교차공간818 / 평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