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wave
Single channel video / FHD / Color / Sound / 4' 14" / 2020
To be anything, to be nothing / 탈영역우정국 / 서울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하는 것이다 / 수창청춘맨숀 / 대구
팬데믹으로 인해 변화한 예술의 유통 방식과 감상 경험에 주목한 작업이다. 전시장 대신 스마트폰 화면을 통해 전시를 ‘시청’하는 방식이 보편화되면서, 예술 감상의 방식 자체가 달라졌음을 체감했다. 동시에 AI가 예술의 영역에 침투하면서, 인간만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예술에 대한 기존 인식에도 균열이 생기기 시작함을 느꼈다. 이에 GAN을 활용해 미술품 데이터를 학습시키고 생성된 유사 예술품를 전시함으로써, 가까운 미래의 미술 시장과 예술에 대한 우리의 태도 변화를 질문하고자 했다.
This work focuses on the changing modes of art distribution and appreciation brought on by the pandemic. As exhibitions shifted from physical spaces to being “viewed” through smartphone screens, I sensed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in how we experience art. At the same time, the growing presence of AI in the realm of art challenged the long-held notion of art as a uniquely human domain. In response, I used a 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to train on a large dataset of artworks and exhibited the generated images. Through this process, I aimed to question how the art market and our attitudes toward art might change in the near future.
Back to Top